웹 기초 4일 차
2024/08/26
오늘은 지금까지 배운 HTML과 CSS를 활용하여 기초적인 웹 페이지를 두 개 만들어 보았다.
첫 번째는 프로필이 나오는 웹 페이지를 했는데 처음에 이미지 소스가 화면에 보이지 않아서 당황했었는데 erm 사이에 공백이 있어서 그런 것이었다. erm은 공백 없이! 사용할 것.



프로필 사진 위에 마우스 포커스를 올리거나 Follow 버튼 위에 포커스가 올라가면 사진과 색깔이 변경되는 CSS도 만들었다.
웹 기초 5일 차
2024/8/27
오늘은 자바스크립트의 기본 문법에 대해 배워보았다. 자바스크립트는 배울수록 더 어려워진다고 해서 교재를 같이 읽으면서 공부하기로 했다.
그리고 다음 주 금요일까지 HTTP에 대해 공부해서 내가 이해한 문장으로 발표를 준비하라는 과제가 있었다.
이번에 HTTP를 다시 배우면서 내가 모르고 있는 것이 참 많다고 생각이 든다. OSI 7 계층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는 것은 알겠는데 그래서 사용자가 웹 페이지에 접속하거나 이용할 때 HTML과 HTTP가 어떻게 상관하는지 같은 것이 잘 모르겠다.
이번에 제대로 배워서 HTTP를 끝내고 싶다.
웹 기초 6일 차
2024/8/28
오늘은 어제에 이어 자바스크립트의 기본 문법과 함수, 이벤트에 대해 배웠다.
책으로 공부하면서 쫓아가려고 하다 보니 진도가 많이 밀렸다.
주말에 스프링도 해야 하고, 밀린 진도도 나가야 하고, 1차 프로젝트도 다시 점검해야 해서 할 것이 많다.
자바스크립트는 처음 제대로 배우는 거다 보니 처음 들어보는 개념이 많지만 제대로 배워서 자바스크립트로 프로젝트를 만들고 싶다는 목표가 생겼다.
그리고 그림으로 배우는 SQL 입문 책을 끝까지 읽었다.
웹 기초 7일 차
2024/8/29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먼저 함수 객체를 생성한 뒤 그 객체에 함수 리터럴을 할당하는 실행 순서를 가지고 있는데, 이러한 순서에 따라 발생하는 함수 호이스팅이라는 특징이 있었다.
이런 함수 호이스팅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하고 코드를 만들어야겠다고 생각했다.
그리고 자바스크립트에서 배열을 만들고 그 배열 요소를 정렬하는 메서드, 그리고 콜백 함수, 중첩 함수, 즉시 실행 함수에 대해 알아보았는데 자바스크립트와 자바는 비슷하면서 큰 차이가 있고 연산자의 종류도 조금씩 달라서 익히는 데 조금 시간이 걸릴 것 같다.
웹 기초 8일 차
2024/8/30
30일 차에는 자바스크립트의 동작원리에 대해 알아보았다. 자바에도 메모리 영역이 있듯이 자바스크립트도 스택과 힙 메모리 영역이 있고 각 영역에 저장되는 객체가 달라진다. 그런데 자바와는 달리 실행 시 코드 평가를 통과하면 실행 콘텍스트가 생성되고 그 실행 콘텍스트에는 전역 코드, 함수 코드, eval 코드, 모듈 코드가 종류대로 생성이 된다.
이때 자바스크립트의 단일 스레드 특성상 단 하나의 실행 콘텍스트가 생성되기 때문에 최상위 실행 콘텍스트를 제외한 나머지 콘텍스트는 대기 작업(task) 안에서 대기를 한다.
이러한 대기는 스택 자료구조를 띄고 있다.
동기, 비동기 처리를 알아보고 비동기 처리를 수행하는 함수에 대해 알아보았다.
'주간 랩업 > [SSG] JAVA 기반 백엔드 개발 과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 [14주차] 스프링부트 1~5일차 (0) | 2024.09.23 |
|---|---|
| [13주차] 스프링 1~5일차 (1) | 2024.09.07 |
| [11주차] 웹 기초 1~3일차 (0) | 2024.08.25 |
| [10주차] 1차 프로젝트 1일차-4일차 & 회고록 (1) | 2024.08.21 |
| [9주차] 데이터베이스 11 -15일차 (0) | 2024.08.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