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랩업/[SCC] Docker 기반 CI&CD 파이프라인 구축하기

2-8. GitLab을 이용한 Push 자동화하기

hooooolly 2025. 3. 31. 00:26
  • GitLab을 사용해서 개발자의 코드를 읽고 자동화 스크립트를 실행하여 도커 빌드, 로그인, 푸시, 그리고 디플로이까지 포함한 프로세스를 자동화한다

 

 

  • 깃랩 CI 구성요소

 

- GitLab은 GitLab CI와 GitLab Runner로 구성되어 있으며, CI가 Runner를 작동시켜 자동화 프로세스를 진행한다

- GitLab CI는 사용자 관리, 저장소 확인 등 관리적 기능을 제공하는 반면, GitLab Runner는 코드를 실행하는 역할

- GitLab Runner는 Git 저장소에서 빌드할 코드를 가져와 GitLab CI 설정에 따라 파이프라인 스크립트를 실행하여 배포

 

  • 깃랩 러너 설치 및 등록

 

 

  • 깃랩 파이프라인 구성

빌드(도커 이미지 생성) -> 테스트 (도커 이미지 테스트) -> ECR로 푸시 -> AWS를 통해 배포하는 4단계를 차례대로 수행하는 절차가 파이프라인
각 공정 단계에서 수행하는 일을 job=작업이라고 하는데 예를 들어 빌드 스테이지에서는 의존성 설치, 설정파일 수정 등의 작업이 이루어진다. 이 작업들은 스크립트 문서를 통해 이루어진다

 

깃랩 에디터 예시 / 스테이지와 각 스테이지 별 잡을 작성

 

작업 별로 성공/실패 여부 로그를 확인할 수 있다
깃랩 프로젝트 > 빌드 > 파이프라인 에디터에서 스크립트 작성. 위오류가 났을 때를 확인하기 위한 예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