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주차 목표
🥳 강의에서 배운 내용 총 정리
🥳 학습 후기
✍️ 복습하기
- 애플리케이션 라이브러리, 빌드 시스템, 런타임, 툴, 운영체제에서 제공하는 PID, USER, Volume, IPC, Network까지 함께 패키징 해서 만든 도커 이미지로 어디에서든 동일한 동작을 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할 수 있다
- AWS 클라우드의 다양한 상품을 알아보았고 GitLab을 통해 자동으로 클라우드로 배포해보았다. 이번 실습에서는 AWS의 EC2, ECR, ECS, ELB를 사용해 보았다
Docker 기반 CI/CD 파이프라인 구축하기 강의를 통해서 개념으로만 알고 있었던 CI/CD를 직접 다루는 것이 좋았다. 강의 초반에 이런저런 오류가 많아서 하나씩 해결하면서 실습하느라 시간이 오래 걸렸다. (가상 머신에서 복붙하는 것조차 여러 방법을 시도해서 성공했다😖) 리눅스 환경의 버전 차이 때문인지 강의에서 가르쳐주는 명령어가 내 환경에서는 오류 날 때 참 당황스러웠다.
이렇게 리눅스에서 환경 설정을 하거나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것은 어려웠지만, 오히려 이런 경험을 미리 해볼 수 있어서 다행인 것 같다. 이번 강의를 통해서 애플리케이션의 패키징, 테스트, 배포하는 과정을 매뉴얼로도 해보고 자동화해 볼 수 있어서 좋았는데 생각보다 쉽지 않았다. 자동화를 하기 위한 자동화 도구가 따로 있고, 자동화 도구를 실행시키기 위한 설정이 필요한 복잡한 과정이었다. 이번 과정에서 AWS 클라우드 서비스를 사용해 본 것도 좋은 경험이 되었다.
이번 강의는 도커와 클라우드, 자동화에 대해 입문할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 앞으로는 좀 더 심화된 내용을 공부하고 쿠버네티스까지 도전해보면 좋을 것 같다!
'주간 랩업 > [SCC] Docker 기반 CI&CD 파이프라인 구축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 4. “진짜” 배포를 위해 파이프라인 확장하기 (0) | 2025.04.11 |
|---|---|
| 3-3. Docker 어플리케이션 배포하기 (0) | 2025.04.08 |
| 3-2. Amazon ECS란? (0) | 2025.04.08 |
| 2-10. CI/CD 구성 살펴보기 (0) | 2025.04.01 |
| 2-8. GitLab을 이용한 Push 자동화하기 (0) | 2025.03.31 |